올라씨 Elena._.
2025. 4. 29. 07:30
반응형
마음이란 건 알 수가 없다.
내 마음도 제대로 알 수 없으니, 타인의 마음을 알 수 없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일일지도 모른다.
먹고 싶은 걸 표현하지 않으면 알 수 없고
먹고 싶은 걸 말하지 않았다면 화낼 수도 없는 노릇이다.
사람이 딱딱해보이고 거칠어보일지 몰라도 그 마음 안에는 따스함이 있을 수 있고
사람이 유연하고 좋아보일지 몰라도 그 마음 안에는 철벽과 같은 벽이 존재할 수도 있다.
그래서 사람도 그렇다.
다소 대하기 힘든 사람이라도 마음 한 켠엔 감정의 소용돌이가 있다.
힘들다고 하기 싫어하면 그 감정의 소용돌이에 의한 다정함을 느끼지 못할 것이다.
한편으로
상대하기 편했으나 어떤 상황에 이르러 갑자기 껄끄러워진 상황이라면
무엇인가 일이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고 그에 맞춰 대응해야 할 것이다.
사람은 알 수 없어서
안다고 단정할 수도 없고 그의 마음을 들여다볼 수 없다.
그렇다면 결국은, 나도 당신도 사람이니 배려가 전제 되지 않는 커뮤니케이션은 더 이상 의미가 없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