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대기기간 이렇게 하면 줄일 수 있다
조회수 : 14819 등록일 : 2012-12-07
신장이식 대기기간 이렇게 하면 줄일 수 있다
*신장이식 : 신장 이식은 생명을 위협할 정도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병든 신장을 대신하도록, 기증받은 건강한 신장을 환자의 동맥, 정맥 및 방광에 연결하여 수술하는 치료 방법입니다. 신장이식술(Renal transplantation )
- 교차반응항체 수치가 높은 환자의 신장이식 대기 시간 10.3년, 항체 수치가 낮은 환자 3.6년에 비해 3배 가까이 긴 것으로 나타나.
** 교차반응항체 : 신체의 면역체계가 어떠한 물질(예: 꽃가루)에 들어 있는 단백질을 다른 물질(예: 과일 또는 야채)에 들어 있는 단백질과 유사하다고 인식하면서 발생합니다. thermofisher
질병에 대항하기 위해 면역체계에서 만들어내는 단백질을 교차반응 항체라고 하며, 항체 수치가 높을 경우 신장 이식에 영향을 주어 항체 지수가 낮은 환자보다 더 오래 기다려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교차반응항체를 제거하는 탈감작치료법은 국내 일부 병원에서만 가능, 보다 많은 의료기관에서 탈감작치료를 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 필요
***탈감작치료법 : 어떤 반응을 유발하는 부분을 지속적, 반복적으로 자극에 노출시켜 반응을 둔감하게 하는 치료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장이식 대기 환자 중 교차반응항체(PRA, 이식 장기를 공격하는 면역물질의 일종)가 높은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에 비해 신장이식 대기 기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안규리)는 2001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신장이식대기환자 1,231명을 분석한 결과 신장이식 대기 기간이 7년 이상인 환자 159명 중 약 30%의 환자가 교차반응항체 수치가 50% 이상으로 신장을 이식 받는데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교차반응항체 수치가 50% 이상이 되면 이식전 교차반응에서 양성이 나올 확률이 높아 신장이식을 받기 힘든 상태로 본다.)
말기신부전 환자가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지만 뇌사공여자는 부족하여 국내에서 신장이식 대기 환자가 뇌사공여자로부터 이식을 받기까지 평균 4.7년을 기다리며, 교차반응항체 수치가 높을수록 대기기간은 그보다 더 길어진다.
미국 장기이식센터(UNOS)의 자료에 따르면, 뇌사자 신장이식 대기자 중 교차반응항체가 있는 경우는 약 30%에 달하고, 이식 대기 기간도 고도로 감작된(80%이상의 PRA 역가를 보이는 경우)환자는 평균대기시간이 10.3년으로 감작정도가 낮은(10%미만의 PRA 역가를 보이는 경우)환자의 3.6년에 비해 3배 가까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이식은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에 비하여 삶의 질, 합병증, 사망률 등의 지표에서 월등히 우월하여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가장 좋은 치료법이다. 그러나 환자가 과거 잦은 수혈과 장기 이식을 경험하면 혈액 내 교차반응항체가 높아져 신장을 이식받을 기회가 와도 다음 기회로 미뤄야 해서 대기기간이 길어진다.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치료법이 탈감작 치료법이다. 탈감작 치료법은 체내 교차반응항체의 양을 줄이고 항체를 생성하는 세포를 없애기 위해서 면역글로불린, 혈장교환술 및 리툭시맵 (rituximab), 볼테조밉(bortezomib) 등을 이용한 탈감작 치료방법을 시행한다. 일반적으로 약 4주간의 준비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탈감작 치료는 장기이식의 경험과 노하우가 있는 국내 일부 병원에서만 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는 국내에서 가장 많이 탈감작 치료를 하고 있다. 2010년부터 시작된 이 치료법은 지난해에만 3명의 환자가 치료를 받고 신장을 이식 받아 새 생명을 얻었다. 현재까지 총 8명의 환자가 탈감작 치료를 성공적으로 받았고 그 중 4명의 환자가 신장을 이식 받고 새로운 삶을 얻었다.
혈액투석환자인 박성한(41)씨는 1998년 아버지로부터 신장을 이식 받았지만 상태가 악화되어 2003년부터 혈액투석을 시작했다. 새로운 신장을 이식 받기 위해 KONOS(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에 이식대기자로 등록했지만 교차반응항체가 생겨 이식이 번번이 좌절되었다. 7년 넘게 기다렸던 그는 2011년 11월 1일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교차반응항체를 제거하는 탈감작 치료를 받았고 두 달 후 항체가 없어졌다는 최종 검사 결과를 받은 후 12월 30일 성공적으로 신장을 이식 받았다.
안규리 센터장은 “해마다 신장이식 대기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재이식, 교차반응항체를 가진 환자들도 증가하는 만큼, 이식 의료기관에서 이들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관리 지침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보다 많은 기관에서 탈감작치료를 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정하면, 교차반응항체 수치가 높아 이식을 못 받은 환자들의 신장이식대기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 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고 말했다.
현재 국내 신장이식 대기 환자는 2012년 7월 기준 11,700명 (출처:국립 장기이식 관리센터, KONOS)이다.
이식 대기자에 대한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대학교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신장이식 대기 환자들의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이식 대기 중 발생하는 암, 심장병, 감염병을 조기발견 및 예방에 힘쓰고 있다. 임신으로 수혈 등으로 인하여 항체가 몸 안에 생기면 이식을 받기가 어려워지므로 이에 대한 환자 교육과 관리를 해오고 있으며, 이미 항체가 생긴 환자에 대해서는 탈감작과 같은 적극적인 치료를 시행하고 있다.
'공존의무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는 이혼했다. (0) | 2023.09.13 |
---|---|
우울증, 감정기복 극복할 수 있을까. (2) | 2023.09.05 |
완벽주의와 무기력 (0) | 2023.07.13 |
그냥 살기 1일차 (0) | 2023.07.12 |
건강검진 후기 2탄 (결과지)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