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의 무게

[에세이] 나성질NO1

올라씨 Elena._. 2012. 3. 27. 22:49
반응형

   

우리는 고급인력이 되길 자처하면서 각종 영업자의 준비자세는 고려하지않고 무시해버린다. 그러면서 공장근무자들도 무시하고 자신의 자녀가 단순노동자가 되지않기를 확고부동하게 확신한다. 왜 이런 상황이 발생하게 된것일까.

   산업시대 이후 급격한 시스템자동화로 단순인력은 점차 감소되었다. 기업은 생산비용을 줄이려하기 때문에 불가피한 일이다. 동남아로의 공장 이전은 더욱 더 가속화되고 있고 앞으로도 쭈욱 진행될 것이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급여는 일정액 보장된다. 하지만, 경력직은 대우가 다르다. 일반 콜센터는 경력자와 비경력자는 차등대우된다. 하지만 생산노동자의 경우는 급여가 동일하다. 생산직의 경우 경험에 따라 급여관련 부분이 달라질 수 있지만, 일반적인 경우에는 제외된다. 공장에서 생산노동이란 일용직으로 기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BlackBerry® 에서 보냈습니다.



[!] 이 글은 [나]를 [성]찰하는 [질]문이라는 카테고리 안에서 제가 무엇을 찾고 무엇을 향하는 것인가. 왜, 어떻게 풀어가야 하는가에 관한 질문을 올려 정리하는 곳입니다. 제가 답을 찾을 수도 있고, 못 찾을 수 있으니 댓글을 통한 토론은 환영합니다. 


   

반응형